공개키 2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PKI 구조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구조에 중앙 집권형 구조인 PKI 구조를 구현한다면?? 중앙 집권형의 장점과 탈중앙화의 장점을 같이 살려서 구현 할 수있다. 기능 명 기능 설명 append 사용자의 정보로 만들어진 인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추가한다. sign 블록체인에 추가된 인증서에 서명을 한다. revoke CA로 등록된 개체가 인증서를 취소한다. isCertificateValid 인증서가 유효한지 체크한다. 위의 표는 덕배가 구현한 구조에서 사용될 스마트 계약함수들이다. 덕배는 위와 같은 구조로 블록체인 환경에서 PKI 구조를 구현 하였고 스마트 계약 함수를 위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하였다. 인증서 발급과 폐기를 중앙기관인 CA에서만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는데 탈중앙화의 구조로 누구나 발급하고 폐기가 가능하다면 ..

블록체인 2020.09.08

블록체인과 PKI 구조

블록체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활용할려면 블록체인의 특징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우선 가장 큰 특징으로는 중앙기관 없이 거래가 가능한 탈중앙화 그리고 정보를 다수가 공동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다. 또 그 정보가 공개되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명성이 보장된다. 정보 원장을 기반으로 신원확인, 상품 이력 추적,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성 또한 높다. 보안성이 뛰어나고 투명하기 때문에 보안쪽으로 활용을 할 수 있다! 오늘은 PKI 구조와 블록체인에 대해 얘기 해보자 PKI 구조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terface)로 공인인증서를 발급하고 사용을 위한 인프라이다. PKI 구조는 인증기관, 검증기관, 등록대행기관, 사용자로 구성된다...

블록체인 2020.09.04